반응형 응급의학/기타6 갈비뼈(늑골) 골절의 증상, 진단 및 치료, 회복기간 등에 대해 갈비뼈(늑골)는 우리 몸의 흉곽을 구성하는 12개의 뼈(오른쪽, 왼쪽 각각)로 심장, 폐와 같은 내부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늑골 골절은 흉부 외상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손상으로 저절로 회복하는 가벼운 골절부터 내부장기의 손상을 동반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다발성 골절까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갈비뼈(늑골) 골절(rib fracture)의 증상, 진단, 치료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요 갈비뼈 골절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매우 심한 통증을 동반하지만 그 임상적 중요성은 골절 그 자체가 아니라 기흉이나 혈흉, 폐좌상, 외상 후 폐렴과 같은 합병증 발생 여부에 달려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저절로 회복되는 양상(self-li.. 2023. 11. 15. 코뼈 골절의 증상 및 치료, 수술 등에 대해 코뼈 골절(=비골 골절, nasal bone fracture)은 얼굴뼈 손상 중 가장 흔한 골절로 스포츠 활동 및 타인에 의한 구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뼈는 약한 구조물이며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부러질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코뼈 골절의 증상 및 치료, 수술 등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부학 코의 위쪽은 단단한 코뼈로 이루어져 있고 아래쪽은 부드러운 연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코뼈는 전두골(frontal bone), 상악골 전두돌기(frontal process of maxilla), 사골뼈의 수직판(perpendicular plate of ethmoid)과 관절면을 이루는 두 개의 직사각형 모양의 뼈가 텐트 모양을 이루고 .. 2023. 11. 13. 포유류 교상(개 물림, 고양이 물림, 사람 물림)의 치료 및 대처법 반려 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점점 늘면서 개 물림이나 고양이 물림과 같은 교상 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응급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환자들인데요, 본 포스팅에서는 포유류 교상(개 물림, 고양이 물림, 사람 물림)의 증상 및 치료, 대처법 등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요 응급실에 내원하는 교상 환자들의 대부분은 집에서 기르는 개나 고양이에 의해 물림을 당합니다. 본인이 기르는 반려 동물인 경우가 제일 많고, 타인이 기르는 개나 고양이를 만지다가 물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동물 병원 등 동물 관련 시설 종사자들도 교상을 입는 경우가 많으며 야생 개나 고양이에게 물리는 경우도 간간히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매년 400만 명의 물림 사고가 발생한다고 하며 그중 80만 명은 의학적 주.. 2023. 10. 31. 올바른 응급실 이용 방법 - 언제, 어디로, 어떻게, 주의사항 등에 대해 응급실은 응급환자를 치료하는 공간입니다. 응급실에 가야 하는 증상은 무엇인지, 어느 응급실로 가야 하는지, 응급실 이용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등 응급실 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응급실은 이런 곳입니다. 응급실은 긴급한 환자의 상태나 중증질환을 호전시키기 위해 응급의학과 전공의와 전문의가 직접 응급환자를 진료하여 초기 치료를 하는 곳입니다. 응급실은 그 역할에 따라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 기관 외 응급실로 나뉘어 있습니다. 응급실 진료는 외래 진료와 다릅니다. 응급실에서는 위급한 환자부터 진료합니다. 생명이 위급한 환자를 우선 진료하고 상태가 위중한 순서대로 진료합니다. 상태가 위중하지 않은 환자는 중증환자를 먼저 진료한 후 순서대로 진료합니다. 응급 시술 및 응급.. 2023. 10. 2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