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응급의학61

아킬레스건 파열의 원인, 증상 및 진단, 수술, 회복기간 등에 대해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은 우리 몸의 발뒤꿈치 뼈와 종아리 근육을 연결하는 강한 힘줄로 뛰거나 점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입니다. 아킬레스건 파열은 주로 농구나 축구 등의 운동선수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부상이었으나 최근에는 운동 인구의 증가로 일반인들에게도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아킬레스건 파열(Achilles tendon rupture)의 원인, 증상 및 진단, 수술, 회복기간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부학 아킬레스건은 상기 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골(calcaneus)과 장딴지 근육(triceps surae muscle, 하퇴삼두근)을 연결합니다. 우리 몸에서 가장 강하고 큰 힘줄로 족저굴곡(plantar flexion).. 2023. 12. 7.
상장간막동맥증후군(SMA syndrome)에 대하여 상장간막동맥증후군(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 SMAS)은 위와 소장을 연결하는 십이지장의 한 부위가 두 개의 동맥에 의해 껴서 발생하는 소화기계 질환입니다. 십이지장이 끼임으로써 소화된 음식과 액체가 소장으로 통과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소화기 계통에 손상을 입히며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증상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비특이적이어서 다른 질환으로 오인될 수 있습니다. 해부학 복부 대동맥(abdominal aorta)은 우리 몸에서 존재하는 가장 큰 동맥으로 아래로 내려가며 여러 분지(branch)들을 내보냅니다. 첫 번째 분지는 Celiac trunk이며 여기서 Common hepatic artery, Splenic artery, Left gastric.. 2023. 11. 28.
불명열의 원인 - 간농양의 증상, 진단, 치료, 예후 등에 대해 간농양(Liver abscess)은 세균, 기생충, 진균 등의 원인균이 간에 침투하여 증식함으로써 이로 인해 간에 고름이 형성되는 질환으로 특이 증상 없이 열만 나는 경우도 많아 과거에는 불명열의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현재는 응급실 등에서 원인 불명의 고열, 염증 수치 상승이 있을 경우 복부 CT를 찍어보는 경우가 많아 어렵지 않게 진단되는 편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간농양의 분류 및 각각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후 등에 대해 간략히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분류 간농양은 크게 화농성(pyogenic=세균성), 아메바성(amebic)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임상적 소견이 유사하지만 병태생리 및 치료는 크게 달라집니다. 화농성 간농양 개요 및 원인 간농양은 대체로 담도 폐쇄(biliary.. 2023. 11. 23.
쇄골 골절의 증상, 분류, 치료, 후유증 등에 대해 쇄골(clavicle)은 흉골과 견갑골을 잇는 뼈로 빗장뼈라고도 합니다. 목과 앞가슴의 경계 즈음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면에서 도드라지게 보이기 때문에 흔히 만질 수 있습니다. 쇄골 골절(clavicle fracture)은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는 골절로 주로 어깨 쪽으로 넘어져 부딪히며 수상하게 되며 어깨를 움직일 수 없다고 하며 내원하게 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쇄골 골절의 증상 및 분류, 후유증 등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역학 전체 골절의 약 2.6%에 이르고 남자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남자의 경우 대부분 20세 전에 집중되어 발생하고 여자의 경우 연령별로 비교적 고르게 발생합니다. 젊은 연령에서는 자전거나 오토바이에서 떨어지거나 격렬한 스포츠 활동 중 많이 발생하는 반.. 2023. 1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