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급의학61 진통제 - 트라마돌(트리돌 주사)의 작용 기전 및 부작용 등에 대해 트라마돌(tramadol)은 진통제로서 병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제 중 하나입니다. 주사제로는 트리돌(tridol) 주사라는 이름으로 주로 사용되며 먹는 약은 울트라셋정, 원트란정, 트라미펜정 등등의 상품명으로 주로 아세트아미노펜과 혼합되어 사용됩니다. 응급실에서는 보통 NSAID 진통제 주사로 통증이 호전되지 않을 때 2차 약제로 트리돌 주사가 사용되며 병동이나 중환자실 등에서는 1차 약제로 트리돌이 많이 사용되는 편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트라마돌의 작용 기전 및 사용법, 부작용 등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리돌주(tridol injection) 성분 : 트라마돌(tramadol) 염산염 100mg/dl 효능 : 중증 및 중등도의 급만성 통증(각종 암 등), 진단.. 2023. 10. 18. 팔씨름 후 발생한 골절 - 상완골 간부 골절의 증상 및 치료, 합병증 등에 대해 건장한 젊은 남성이 팔씨름 후 심한 위팔뼈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합니다. 상완골 간부 골절(Humerus shaft fracture, 위팔뼈 골절)은 어깨와 팔꿈치를 이어주는 뼈인 상완골의 가운데 부분, 간부(shaft)에 발생한 골절로 팔씨름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골절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상완골 간부 골절의 증상 및 치료, 합병증 등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해부학 상완골(humerus)은 상기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깨뼈와 팔꿈치뼈를 이어주는 위팔뼈이며 어깨 쪽의 근위 상완골 및 팔꿈치 쪽의 원위 상완골을 제외한 몸통 부분을 상완골의 간부(humerus shaft)라고 합니다. 2. 역학 전체 골절의 약 1~3%의 빈도로 발생합니다. 상완골 골절에서 간부 골절은 약.. 2023. 10. 16. 딸꾹질의 원인 및 멈추는 법, 치료약 등에 대해 딸꾹질(hiccup)은 호흡을 보조하는 근육들(늑간근육, 횡격막 등)의 비자발적인 경련성 수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응급실에도 간혹 가다가 딸꾹질이 멈추지 않아 내원하는 환자분들이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 딸꾹질의 기전 및 원인, 멈추는 법, 치료약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전 딸꾹질 반사의 afferent arm은 횡격막 신경(phrenic nerve), 미주신경(vagus nerve) 및 흉부 교감신경 사슬(thoracic sympathetic chain)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문 폐쇄(glottis closure)는 기본적으로 음식 등을 삼킬 때 호흡(inspiration) 및 흡인(aspiration)을 억제하고 반대로 호흡은 성문폐쇄를 억제하여 기도를 개방 상태로.. 2023. 10. 12. 아이 피부염 - 농가진의 원인, 증상, 치료, 격리 등에 대해 농가진(Impetigo)은 주로 소아에게 발생하는 화농성 피부 감염의 한 종류입니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나 베타-용혈성연쇄상구균(b-hemolytic streptococci)과 같은 세균(bacteria)에 의해 감염되는 표재성(superficial) 피부감염으로 접촉전염 농가진(비수포성)과 물집(수포성) 농가진의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물집 농가진은 황색포도상구균의 독소에 의해 표피에 물집이 생기는 것이며 접촉전염 농가진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합니다. 1. 원인 주로 벌레 물린 부위나 피부 표면 외상이 있는 경우 그 상처를 통해 세균 감염이 됩니다. 하지만 선행 피부 병변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온 다습한 여름에 많이 발생합니다. 아이들의 경우 더러운 .. 2023. 10. 11. 이전 1 2 3 4 5 6 7 ···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