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응급의학61

발목을 삐고 나서 붓고 아파서 못 걷겠어요 - 발목 골절 발목을 삐어서(접질려서) 다치는 환자분들은 매우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계단을 내려오다가, 운동을 하다가, 길을 걷다가 등등 다치는 원인도 다양합니다. 발목 골절(족관절 골절, ankle fracture)은 정형외과 영역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골절로 주로 발목을 접질리고 나서 통증 및 부종으로 걸음을 걷지 못하는 증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하게 됩니다. xray나 CT 촬영을 통해 쉽게 진단되는 편이며 주변 인대를 포함한 연부조직 손상이 흔하게 동반됩니다. 발목 관절(족관절)은 원위부(몸에서 먼 쪽) 경골(tibia)과 비골(fibula), 거골(talus) 그리고 이들을 서로 연결해 주는 인대 및 연부조직으로 구성된 관절입니다. 우리가 흔히 복숭아뼈라고 하는 복사뼈는 위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 2023. 8. 18.
알코올 금단 증후군 증상 및 치료(금단 섬망 포함) 알코올은 매우 경미한 증상에서부터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상태까지 매우 많은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알코올이 질환을 일으키는 기전으로는 알코올의 직접적인 독성에 의해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알코올에 만성적으로 노출되어 있던 경우 금단 증상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만성적으로 술을 마시던 사람은 여러 영양결핍으로 신경학적 이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응급실에서도 알코올 관련 환자들을 자주 보게 됩니다(어쩌면 매일). 오늘은 그중 하나인 알코올 금단 증후군(Alcohol withdrawal syndrome)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코올이 중추신경계 억제제이기 때문에 혈중 알코올 농도가 지속적으로 높을 때에는 교감신경계를 포함한 신경계가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과다 흥분됩니다. 이 상태에서.. 2023. 8. 16.
높은 곳에서 착지 후 발 뒤꿈치 통증 - 종골 골절의 증상, 치료 방법 및 기간 서론 높은 곳(보통 1m 이상)에서 착지 후 발 뒤꿈치가 아프고 퉁퉁 부어서 내원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일하다가 높은 곳에서 추락하여 생기는 경우가 많고 장난으로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다가 다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xray를 찍어보면 종골(발 뒤꿈치뼈)이 골절이 되어 있습니다. 종골 골절(calcaneus fracture)은 발에 발생하는 골절 중에서 치료하기가 가장 어렵고 후유증도 많이 남는 골절로 악명이 높습니다. 해부학 종골은 발에서 가장 큰 뼈로 우리 몸의 몸무게를 지탱하고 하퇴삼두근에 대한 지렛대 역할을 하며 후내측 구조물들을 보호하는 중요한 뼈입니다. 종골은 4개의 관절면이 있는데 입방골(cuboid)과의 사이에 한 개의 관절면이 있으며 거골(talus)과 세 개의 관절면을 이룹니다. 손상 기.. 2023. 8. 15.
항생제 변경의 타이밍 및 그람 염색 검사 항생제를 변경해야 하는 타이밍 De-escalation : 광범위 항생제를 배양검사 결과 및 감수성 결과에 따라 스펙트럼을 좁혀서 타깃으로 삼은 병원체에만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맥주사에서 경구약으로 변경할 때 : 환자의 증상이 호전되어 경구섭취가 가능해지면 변경할 수 있습니다.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고 있는 경우에 항생제를 변경합니다. 3번의 타이밍에 항생제 변경 시 주의점 감염증의 치료효과는 2,3일 동안의 경과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온은 본래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이므로 체온의 상승 하강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전체적으로 체온이 정상화되고 있는지, 그 추세(trend)를 봐야 합니다. 하루 중 가장 높은 체온(T-max)이 내려가고 있는지 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체.. 2023.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