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응급의학63

높은 곳에서 착지 후 발 뒤꿈치 통증 - 종골 골절의 증상, 치료 방법 및 기간 서론 높은 곳(보통 1m 이상)에서 착지 후 발 뒤꿈치가 아프고 퉁퉁 부어서 내원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일하다가 높은 곳에서 추락하여 생기는 경우가 많고 장난으로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다가 다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xray를 찍어보면 종골(발 뒤꿈치뼈)이 골절이 되어 있습니다. 종골 골절(calcaneus fracture)은 발에 발생하는 골절 중에서 치료하기가 가장 어렵고 후유증도 많이 남는 골절로 악명이 높습니다. 해부학 종골은 발에서 가장 큰 뼈로 우리 몸의 몸무게를 지탱하고 하퇴삼두근에 대한 지렛대 역할을 하며 후내측 구조물들을 보호하는 중요한 뼈입니다. 종골은 4개의 관절면이 있는데 입방골(cuboid)과의 사이에 한 개의 관절면이 있으며 거골(talus)과 세 개의 관절면을 이룹니다. 손상 기.. 2023. 8. 15.
항생제 변경의 타이밍 및 그람 염색 검사 항생제를 변경해야 하는 타이밍 De-escalation : 광범위 항생제를 배양검사 결과 및 감수성 결과에 따라 스펙트럼을 좁혀서 타깃으로 삼은 병원체에만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맥주사에서 경구약으로 변경할 때 : 환자의 증상이 호전되어 경구섭취가 가능해지면 변경할 수 있습니다.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고 있는 경우에 항생제를 변경합니다. 3번의 타이밍에 항생제 변경 시 주의점 감염증의 치료효과는 2,3일 동안의 경과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온은 본래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이므로 체온의 상승 하강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전체적으로 체온이 정상화되고 있는지, 그 추세(trend)를 봐야 합니다. 하루 중 가장 높은 체온(T-max)이 내려가고 있는지 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체.. 2023. 8. 14.
외상성 뇌 손상(두부 외상) 환자의 치료 서론 두부 외상은 25세 미만 환자에서 외상으로 인한 사망의 주요 원인이며, 모든 외상성 사망의 1/3 정도를 차지합니다. 추락, 교통사고, 폭행 등이 주원인이며 미국의 경우 연간 11,000,000명 정도가 두부 외상으로 응급실을 방문한다고 합니다. 두부외상은 크게 직접손상과 간접손상으로 나눕니다 직접손상 : 물체에 의한 직접 충격으로 발생, 충격 부위의 골절과 출혈을 보입니다. 간접손상 : 가속/감속력에 의해 뇌의 다양한 움직임으로 인해 미만성 축삭 손상, 뇌진탕, 연결정맥의 파열로 인한 경질막하 혈종을 일으킵니다. 하지만 대부분 직접 충격은 충격과 동시에 머리의 움직임이 일어나므로 복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외상성 뇌 손상(두부 외상)의 종류 두피 열상, 두개골 골절(Skull fracture).. 2023. 8. 13.
과민성대장증후군 치료에 쓰이는 항생제, 노르믹스정(리팍시민)에 대해 노르믹스정(Normix Tab)은 급성위장염으로 인한 설사, 과민성대장증후군, 여행자 설사, 고암모니아 혈증에 의한 간성혼수 등에 쓰이는 리팍시민(Rifaximin) 성분의 항생제입니다. 리팍시민은 리파마이신(Rifamycin) 계열에 속합니다. * 리파마이신 : Amycolatopsis rifamycinica라는 박테리아에 의해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합성됩니다. 리팜핀(rifampin)으로 대표되는 결핵치료제로 유명하며 그람 양성균의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성분 : 리팍시민 200mg 저장방법 : 기밀용기, 실온(1-30˚C) 보관 설사 : 12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 하루 네 번, 6시간마다 200mg(한 알씩) 경구 복용, 하루 총 4알 복용 위장관 수술 전후 감염의 예방 : 12세 이상의 .. 2023.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