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응급의학61

손목 골절 - 원위 요골 및 척골 골절(콜레스 골절)의 증상, 치료, 후유증 등에 대해 응급실에 중년 또는 노년의 여성이 길거리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며 손목을 짚은 후 손목의 통증 및 붓기로 내원합니다.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손목을 붙잡고 있으며 검사를 시행해 보면 손목에 해당하는 원위부 요골 및 척골의 골절(distal radius, ulna fracture, colles fracture, 콜레스 골절)이 발견됩니다. 콜레스 골절은 원위부 요골 혹은 척골의 골절(보통 척골의 단독 골절은 흔하지 않습니다)중에서 손바닥을 짚으며 다쳤을 경우 그 이름이 붙여지며 손등을 짚으며 다쳤을 경우에는 역콜레스 골절에 해당하는 스미스 골절(smith fracture)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정형외과에서 치료하는 모든 골절의 16%에 달할 정도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콜레스 골절의 역학,.. 2023. 9. 24.
사망진단서의 작성방법 및 지침에 대해 의사가 사람을 진찰하고 자신의 의견이나 판단을 표시함으로써 사람의 생명이나 건강(질병) 상태를 증명하는 서류를 진단서(Medical Certificate)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진단서가 있는데 일반진단서, 상해진단서, 사망진단서, 시체검안서, 출생증명서, 사산증명서, 사태증명서, 소견서, 감정서 등이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사망진단서(Death Certificate)의 작성방법 및 지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론 사망의 증명 사망을 증명하는 서류를 발급하는 목적은 두 가지입니다. 한 개인의 사망을 증명하는 일 : 사망진단서로 관청에 사망신고를 하면 그 사람은 비로소 법률적 사망이 인정됩니다. 사망신고와 더불어 시신을 매장하거나 화장하려면 사망진단서가 필요합니다. 사.. 2023. 9. 22.
호흡곤란(숨가쁨)의 종류 및 원인 질환들에 대해 호흡곤란(숨가쁨, 영어로 dyspnea)은 응급실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상태로 응급실 근무자의 긴장도를 높여주는 주호소 증상(chief complaint)중 하나입니다. 응급 기관삽관을 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도 있지만 응급실에서 잘 치료받고 집으로 귀가하게 되는 경증 질환인 경우도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호흡곤란의 종류 및 원인, 검사 등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호흡곤란의 정의 및 종류 호흡곤란(dyspnea)은 호흡이 어렵고, 힘들며, 불편하다고 하는 환자의 주관적 느낌으로 shortness of breath, breathlessness 등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한국말로는 결국 다 숨이 차다는 뜻입니다). 호흡곤란은 아래와 같은 범주로 나뉠 수 있습니다. Tachypnea(빈.. 2023. 9. 21.
성인 팔꿈치 빠짐(주관절 탈구)의 기전 및 치료 등에 대해 성인의 단순 팔꿈치 빠짐(탈구)은 소아의 팔꿈치 탈구보다 흔하지는 않으나 응급실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상태입니다. 주로 청소년기의 남자에서 스포츠 활동 중 많이 발생되며 팔꿈치를 움직이지 못하고 팔꿈치 모양이 변형된 상태로 내원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성인 팔꿈치 단순 탈구(주관절 탈구, elbow dislocation)의 기전, 진단 및 치료 등에 대해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발생 기전, 원인 팔꿈치 탈구(성인)는 위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팔을 편 상태에서 넘어지면서 짚으며 발생합니다. 외반(valgus), 축성(axial) 및 후외측(posterolateral)으로 충격이 전해지면서 전형적인 후외측 팔꿈치 탈구가 생깁니다. 팔꿈치 외측 측부인대를 포함한 외측 연부조직 손상을 시작으로 관.. 2023. 9.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