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급의학61 탈장(Hernia)의 분류 및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 탈장(hernia)은 우리 신체의 장기(주로 소장)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다른 조직을 통해 빠져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 보고에 따르면 인구의 거의 10% 정도가 일생에 한 번은 탈장이 발생한다고 하며 치핵 수술, 충수염 수술 등과 함께 가장 흔한 수술의 원인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탈장의 분류 및 원인, 증상, 치료 등 탈장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분류 및 기전 서혜부 탈장(inguinal hernia) 가장 흔한 탈장(모든 탈장의 75%)으로 다리와 몸통이 만나는 샅(사타구니) 쪽에 발생합니다. 기전, 위치에 따라 직접 서혜부탈장(direct inguinal hernia) 및 간접 서혜부탈장(indirect inguinal hernia)으로 분류됩니다. .. 2023. 10. 6. 발목을 삐었는데 증상이 오래가요 - 종골 전방돌기 골절 발목을 삐고 나서 인대 손상이 의심된다는 소견을 들었으나 통증이나 부종 등의 증상이 유난히 오래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xray에서 잘 보이지 않는 숨겨진 골절(occult fracture)이 있을 수 있는데요, 종골 전방 돌기 골절(calcaneal anterior process fracture)은 발목 염좌로 종종 잘못 진단될 수 있는 골절로 일차진료의나 응급실 의사가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 골절입니다. 종골 골절 및 발목 골절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이전 포스팅에서 정리해 둔 내용이 있으니 같이 참고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3.08.15 - [응급의학/정형외과] - 높은 곳에서 착지 후 발 뒤꿈치 통증 - 종골 골절의 증상, 치료 방법 및 기간 높은 곳에서 착지 후 발 뒤.. 2023. 10. 5. 손가락 끝 마디가 안펴져요 - 망치수지(Mallet finger, 추지 변형)에 대해 망치수지(=추지 변형, mallet finger)는 넘어지면서 손가락이 축 방향으로 힘을 받거나 공을 잡으려다가 손가락 끝에 부딪히면서 손가락을 펴는 힘줄인 신전건이 손상되어 생기는 상태로 손가락 끝마디가 구부러져 펴지지 않는 상태로 병원을 내원하게 됩니다. 영어 mallet과 한자 추 모두 망치를 의미하며 변형된 손가락의 모양이 마치 망치모양과 같아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망치수지(추지)의 기전 및 증상, 치료 등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전 매우 흔한 손상으로 원위지 관절(DIPJ, distal inter-phalangeal joint)의 급작스런 굴곡으로 수지 신전건 파열이나 견열 골절(avulsion fracture)이 생기게 됩니다. 운동을 하다가 다.. 2023. 9. 26. 가와사키병의 진단, 치료, 후유증 등에 대해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은 점막피부림프절 증후군(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이라고도 불리며 소아에서 발생하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혈관염(vasculitis)입니다. 열성 질환으로 아이가 5일 이상의 열이 지속될 때 한 번쯤 생각해 봐야 하는 질환으로 심장 관련 합병증 등을 갖고 있어 빠른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가와사키병의 진단, 치료, 후유증 등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병인 및 역학 어떤 병원체에 감염 후(infectious process), 독성 물질에 노출(toxin-mediated process), 염증 경로를 자극하는 과정(trigger common inflammatory pathway.. 2023. 9. 25. 이전 1 2 3 4 5 6 7 8 ··· 16 다음 반응형